당신이 하는 다음 말이 당신의 세상을 바꾼다.
개인의 삶은 항상 어렸을 때부터 시작된 이야기Story를 포함하고, 그 이야기들은 말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개념이 갈등 해결 방법의 토대이다. 사람들로 하여금 판단, 비난, 그리고 폭력이 들어가지 않은 말로 서로 대화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당신은 어떤 스토리를 가지고 계신가요?
저도 저만의 스토리를 바탕으로 상대방이 이해하지 못할 이야기를 한다고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상대방도 자기만의 스토리를 가지고 나를 이해시키려 하니 다른 스토리를 가진 저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많았었던 것 같습니다. 내 이야기를 왜 이해하지 못하는지 참 답답한 마음을 느낀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죠. 상대방이 나를 이해하지 못할 때는 내 말솜씨가 부족해 적합한 단어를 선별하지 못해서인가, 감정이 고조되기 전에 얘기했었어야 하는데 타이밍을 못 맞춰서 그런가 하는 등의 여러 가지 생각들을 했었습니다만 사실 그게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우리의 얼굴에 말투에 몸짓 하나하나에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우리는 저마다 자기 이야기를 있는 힘껏 고수한다. 우리의 정체성이 그 이야기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변화를 구할 때, 우리는 새로운 가치관에 따라 살아가려고 애쓰는 것이다."
정말 상대방이 내 맘을 몰라줘서 답답하고도 답답할때
내 얘기만 힘껏 고수하지 않았나 다시금 생각해봐야 될 때입니다. 나와 다른 가치관을 갖고 있는 사람에게 내 얘기를 고수한다는 것 자체가 정말 불가능한 일에 가깝다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모든 이야기는 책에서 얘기하는 것처럼 결국엔 갈등으로 이어집니다. 너무 많은 말이 서로 오가다 보면 갈등이 일어나기 마련이고, 그러한 갈등이 일어날 때마다 우리는 '나' 스스로에게 집중하게 되면서 공격성을 가지게 될 뿐입니다. 이야기Story가 아닌 심리적인 다리인 '연결'에 초점을 두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세계를 보는 모든 눈은, 어느 것이든 가치관들로 가득 차 있고 말을 꺼내는 꺼내는 순간 가치관들은 부딪히기 마련이란 것이죠. 당신의 주의를 상대방과 마음을 연결하는데 둔다면 - 상대방이 나의 마음을 이해한다고 느끼고, 심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느낀다면 - 불필요한 많은 말들로 서로의 삶을 침범하진 않을 테지요. 그렇다면, 많은 말이 오가면 갈등이 일어나 서로에게 상처 주는 말을 해대는 공격성이나, 폭력을 해결하는 방법은 정말 없는 걸까요?
당신의 이야기를 포기하는 것
모든 폭력을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은 당신의 이야기를 포기하는 것이다.
그것은 바로 나의 이야기를 포기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아.. 나의 이야기를 포기한다라. 과연 쉽진 않겠군요. 잠깐 여기서 폭력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겠는데요. 사람들은 우리 모두가 폭력적으로 행동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마음가짐에 질적인 변화를 일으켜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고 얘기합니다. 폭력에 대해 무지하기 때문에 우리가 대부분 자신의 폭력성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정신적인 폭력을 간과하는 것이겠지요. 대개 싸우고, 죽이고, 때리고, 전쟁하는 것들만 생각하지만 정신적 폭력이 물리적인 폭력보다 오히려 더 해롭고 위험합니다. 정신적인 폭력은 피해자들의 내면에 분노를 일으켜서 결국 물리적인 폭력으로까지 이어지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우리 스스로 우리가
이 세상에서 원하는 변화가 되지 않는 한
진정한 변화는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
비폭력 대화
우리 자신을 바꾸는 것은 우리가 매일 쓰는 언어와 대화 방식을 바꾸는데서 시작한다. 우리의 대화가 달라지는 데, 또 따뜻한 세상을 이루는 데 뜻깊은 첫걸음이 될 것이다.
솔로몬 God-listening heart 하나님 음성을 듣는 마음, 지혜
'책에서 배우는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곰브리치 서양 미술사 18 미술의 위기 16세기 후반:유럽 (0) | 2021.08.22 |
---|---|
곰브리치 서양 미술사 10 교회의 승리 - 13세기 고딕 양식 (0) | 2021.08.18 |
명화와 함께 떠나는 수학사 여행 (0) | 2021.07.29 |
나는 폭력적인 사람입니다. 관계의 변화를 꿈꾸다 - 비폭력대화 (2) | 2021.07.22 |
옥스퍼드 과학사, 12. 과학의 소통 (2) | 2021.07.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