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결 규례4 매일큐티 - 3월 27일(주일) 여인의 유출, 레위기 15:19-33 3월 27일(주일) 여인의 유출 레위기 15:19-33 고대 사회에서 여성의 월경 자체를 부정하게 보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스라엘 백성에게서는 남성의 일반적인 유출과 동일하게 생명을 엄중히 여기는 차원에서의 부정으로 간주해 공동체와의 접촉을 막았다. 생명을 상징하는 피를 흘렸기 때문이며, 여성들을 보호하고 7일의 충분한 휴식을 주시기 위함이다. 부정을 끊어내지 않으면 하나님에게서 끊어진다. 내 삶의 모든 자리가 거룩하게 살아야 할 성소이다. 성은 성스러워야 한다. 하지만 성이 거룩함을 요구를 외면할 때 욕구 충족 수단으로 전락하게 된다. 죄를 후회하고 끝내는 것은 회개가 아니다. 하나님 앞에 자복하고 구체적으로 그 죄에서 벗어나기 위한 행동이 필요하다. A Woman's Cleanliness, Levit.. 2022. 3. 27. 매일큐티 - 3월 25일(금) 부정한 집의 정결, 레위기 14:33-57 3월 25일(금) 부정한 집의 정결 레위기 14:33-57 규례를 통해 부정함과 정함을 가르치심 백성만 아니라 집도 땅도 거룩하길 원하신다. 집에 생긴 곰팡이 - 정결 의식을 통해 집의 부정을 씻는데, 그 의식음 몸의 부정을 씻는 절차와 동일하다. 사람과 그 사람이 처한 환경이 서로 불가분의 관계로 묶여 있다는 것을 보여줌 우리 삶이 머무는 공간도 거룩해야 한다. 우리 집과 소유도 위생 상태 뿐 아니라 영적 상태도 면밀하게 조사해 부정한지 살펴보라. 탐욕의 공팡이, 불만의 곰팡이, 사치의 곰팡이, 쾌락의 곰팡이 조금이라도 오염되었다면 과감히 제거 되야 오염의 확산을 멈출 수 있다. 부정한 것이라도 힘들게 이룬 것이니 버릴 수 없다는 생각은 하나님보다 그것이 더 소중하다는 암묵적인 고백이다. We Must.. 2022. 3. 25. 매일큐티 - 3월 22일(화) 정결을 위한 분리, 레위기 13:40-59 3월 22일(화) 정결을 위한 분리 레위기 13:40-59 부정한 것을 진단하는 규례 사람의 피부에 생기는 나명, 사물의 표면에 생기는 나병의 진단 규례를 설명 옷을 찢는 일은 사람이 죽었을 때 슬픔을 표현하는 의식이고, 진 밖으로 추방당하는 일은 하나님의 축복에서 끊어진다는 뜻 살았으나 죽은 자처럼 살아야 할 만큼 부정한 자가 겪어야 할 고통은 크다. 오늘 우리에게 이것은 죄로 인해 부정해지고 하나님과 끊어지는 것이 얼마나 큰 아픔인지 보여준다. 내 삶에서 하나님과 이웃과의 관계에 걸림돌이 되는 부정한 죄는 무엇인가? 죄를 방치하는 것은 죄의 번식을 허용하는 것, 개인의 정결을 위해 단호하게 제거해야 할 악성 곰팡이와 같은 죄는 무엇인가? As Godd as Dead, Leviticus 13:40-59.. 2022. 3. 22. 매일큐티 - 3월 21일(월) 신중하고 신속하게, 레위기 13:18-39 3월 21일(월) 신중하고 신속하게 레위기 13:18-39 제사장은 피부에 생긴 병을 진찰하고 처리하는 의사 역할을 했지만 단지 분리와 분별로써 거룩을 유지할 수 있었다. 정결 규례의 참목적은 그 사람이 회복되어 다시 접촉하고 교제할 수 있는 날을 바라보는 것 하나님은 피부병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주시고 제사장이 판단하도록 하신 것처럼 우리에게 말씀을 통해서 부정한 것과 정한 것을 구분하도록 하신다. 하나님 말씀은 분명한 기준을 제시한다. 아무리 그럴듯한 이유를 내세워도 말씀이 말하는 바가 아니라면 악하고 부정한 것이다. 환부는 부정하고 환부의 흔적은 정결함으로, 제사장은 차이를 식별할 수 있는 안목과 지식을 갖춰야 한다. 우리는 확실치 않은 일에는 너무 성급하게 반응하고, 확실하고 신속해야 할 일에는.. 2022. 3. 22. 이전 1 다음 반응형